"
안녕하세요, OOO입니다.
ㅁㅁㅁ 이슈에 대해서 문의드리려고 합니다.
담당자분 맞으실까요?
...
ㅁㅁㅁ이슈에 대한 건 #@!%~!으로 처리해주시면 됩니다
작업 완료되면 공유 부탁드립니다 확인 후 QA 전달할게요
"
위의 예시처럼 대화하던 나는, 커뮤니케이션을 못하는 게임 디자이너였다.
글을 쓰는 지금은 일요일로 넘어가는 토요일 밤이다.
금요일에 재택근무 중 해결되지 않는 기술상 문제가 있어 회사로 오랜만에 출근했는데, 사수가 나를 불러 이야기를 시작했다.
요지는 나와 함께 일하는/했던 사람들이 '나와의 커뮤니케이션이 불편하다'는 피드백을 다수 전한다는 것.
이야기를 들으면서, 살짝 멍해졌다. 나는 완벽한 게임 디자이너가 되고 싶었기 때문이다. 최근 들어 문제없이 업무를 쭉쭉 진행하면서 자신감이 붙어, 나 정도면 연차에 비해서 꽤 좋은 퍼포먼스를 내고 있다고 생각하던 차였다. 그래서 인사고과에 반영되는 자기평가에서도 자신있게 어필을 했더랬다.
그런데 '나와 일하는게 불편하고 어렵다'니. 일을 잘하고 못하고가 아니라 그냥 같이 일하기가 불편하다는 피드백은 정말이지 내가 받을 수 있는 최악의 것이 아니었을까.
차라리 내가 업무능력이 부족하다는 피드백을 받았다면, 공부를 더 한다던가 레퍼런스를 더 알아본다던가 하는 노력으로 해결될 것이다. 하지만 그냥 나랑 일하기 싫다는 건 어떻게 해결해야 하는걸까?
이야기를 더 들어보니, 재택근무를 자주 하는 요사이는 슬랙의 DM이나 단체 메시지 방을 통한 '텍스트 커뮤니케이션'이 잦아진 상태인데, 이 때 내 말투나 대화 시의 온도?가 불편하다는 것이었다. 말하자면 내가 뭔가 화가 나 있다던가, 너무 차갑다던가, 싸가지가 없어보이게 말한다던가 하는 뉘앙스일 것이다. 물론 이렇게 직접적인 표현을 하진 않았지만...
사실 텍스트 커뮤니케이션을 하면서 이런 문제가 있지 않을까 생각하지 않았던 것은 아니다.
어떠 미사여구도 없이, 이모지도 없이, 그 흔한 ~나 !도 없이 전달해야하는 내용만 담긴 텍스트.
상대방이 내가 화난건 아닐까 걱정한 적이 있긴 하다. 하지만 이해해주겠지- 하면서 금새 잊었었다.
실제로는 이해해주지 않았지만.
내가 그런 걱정을 하면서도 이런 텍스트 대화 스타일을 유지했던건 다음의 이유 때문이었다.
- 최대한 담백하게 대화를 하고 싶었다.
- 최대한 효율적으로 대화를 하고 싶었다. 빠르게 서로 공유해야될 내용을 공유하고 각자의 작업으로 돌아갈 수 있어야 한다고 믿었다.
- 이게 프로페셔널한 것이라고 믿었다.
- 실제 내 성격이, 텍스트로 대화할 때 미사여구를 붙이는걸 어색해한다(간지럽다).
- 담백한게 아니라 싸가지가 없었다. 정나미가 없었다고 해야되나.
- 더 효율적이지도 않았다. 친절하고 사근사근하게 말하는 것이, 말을 빙빙 돌려서 말한다는건 아니니까.
- 진짜 프로라면 같이 일하는 동료들과 좋은 관계가 되는 것에도 신경썼어야 했다.
"
안녕하세요, OOO입니다. -> 안녕하세요~ OOO입니다!
ㅁㅁㅁ 이슈에 대해서 문의드리려고 합니다. -> ㅁㅁㅁ 이슈에 대해서 문의드리려고 하는데요 ㅎㅎ
...
ㅁㅁㅁ이슈에 대한 건 #@!%~!으로 처리해주시면 됩니다 -> ㅁㅁㅁ 이슈에 대한 건 #@!%~!으로 처리해주실 수 있을까요?
작업 완료되면 공유 부탁드립니다 확인 후 QA 전달할게요 -> 작업 완료되면 공유해주세요! 바로 확인 후 QA에 전달하겠습니다 ㅎㅎㅎ
"
연습하면서 느낀건데, 두 줄 연속 ! 를 붙이는 게 너무너무 어렵다. 그냥 심리적 거부감이 너무 크다. 왜일까... 나도 무뚝뚝한 경상도 남자였던걸까?
아직도 이런 대화가 가식적이라고 생각하긴 한다. 하지만 그런게 뭐가 중요할까. 이렇게 해서 내가 더 좋은 게임 디자이너로, 더 좋은 동료로 평가받는다면 그렇게 해야지... 이게 억지가 아니라 자연스럽게 흘러나오도록 끊임없이 노력하려고 한다.
댓글
댓글 쓰기